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extJS
- 회고
- 배포
- huggingface
- CSS
- chatGPT
- miniconda
- nginx
- Python
- React
- Remix
- 티스토리챌린지
- node
- metamask
- jquery
- nft
- 블록체인
- WSL
- threejs
- netfunnel
- polygon
- docker
- Ai
- AWS
- PM2
- exceljs
- Laravel
- 라라벨
- 오블완
- Kaikas
- Today
- Total
목록일상 (18)
박주니 개발 정리

chatgpt 물어보면 설명도 잘해주고 요즘 이미지도 잘나오는거 같아서 지금까지 말한 부분을 이미지로 알려달라고 했더니 이렇게 복잡하게 나왔다. 그래서 그냥 내가 ppt로 정리하니깐 세단계로 구분해서 진행을 했는데 이미지를 보니 아직은 이미지로 이해시키는 것은 인간들을 이해시키기에 AI가 눈높이를 못맞추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한편으로는 다행이다. 그림으로 이해를 시킬 수 있는 영역까지 오면 ppt로 플로우차트 만들 필요없이 바로 chatgpt한테 물어보고 복사해서 붙여놓으면 끝인데 그러면 사실 머릿속에 남는건 없고 똑같은 문제를 마주하더라도 내 수준은 그대로 머물러져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내년이면 분명 AI는 그 부분을 개선하게 될테니 최대한 내 영역을 확보해야겠다.

개발자로 일하면서 chatgpt가 작년부터 나왔는데 그때서부터 사람을 의존하는 일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웬만한 고급 개발자보다 chatgpt가 더 잘알려주고 노하우도 알려주고 여러번 물어봐도 싫은 내색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chatgpt가 나오기 전에는 도라에몽을 보면 진구의 연약한 모습이 답답하게 느껴질 때가 있는데 요즘은 내 모습이 진구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많이 느끼게 되었다. 그래도 chatgpt 덕분에 블록체인부터 three.js 더 나아가 AI llm 및 RAG도 쉽게 접근하고 만들 수 있었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도전의 진입장벽이 낮아져 다양한 시도를 하고 싶어지게 만든다. 진짜 도라에몽 작가는 그때 당시에 도라에몽 같은 존재가 없었을텐데 오로지 상상력만으로 이 만화를 만들어낸게 대단..